•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맥북 닫아도 배터리 닳고 뜨거운 증상 해결 방법

덕후 덕후
42 0 0

맥북 닫아놨는데 왜이렇게 뜨겁고 배터리가 줄어들었지?

맥북을 좀 오래 써서 배터리 성능 자체가 떨어진거라 생각했는데, 오늘 말도 안되는 상황이 발생.

 

맥북 M1 사용중입니다.

 

1. 배터리 90% 정도에서 작업을 끝내고 닫아놨음.

2. 3시간정도 뒤에 가방에서 꺼냈는데 맥북이 뜨끈뜨끈

3. 배터리 38%

 

what??

 

맥북이 제대로 잠들지 못하고 계속 작동됐다는 의미입니다.

원인을 찾아야겠죠.

 

필요한 명령어 - pmset -g log

 

잠들지 못하는 원인을 제대로 찾는 방법

1. 맥북을 15초 정도 닫았다가 다시 열고

2. 터미널을 열고

3. pmset -g log | tail -50 실행

4. ChatGPT, Gemini 등에게 원인을 찾아달라고 한다.

 

저는 웹브라우저 마이크로소프트 엣지가 원인이었습니다.

동영상이 돌던 페이지가 맥북을 닫아도 슬립으로 들어갈 수 없게 방해했던거예요. 지워버려야하나..

 

 

그리고 UserIsActive "com.apple.powermanagement.lidopen" = 뚜껑이 열린 것으로 인식

 

 

센서 문제

Assertion

의미

UserIsActive

사용자가 활동 중으로 인식됨 (키보드/트랙패드 이벤트 등)

PreventUserIdleSystemSleep

디스플레이 켜져 있는 동안 잠자기 방지

lidopen

맥북 뚜껑이 열려있음으로 인식 → 닫아도 잠자기 진입 안 함

 

생산된지 오래된 M1, M2 유저에게 일어날 수 있는 문제라고 함.

  • 물리적으로 뚜껑 닫힘을 감지하는 Hall 센서가 있음
  • 자석이 센서에 닿아야 닫힘으로 인식됨
  • 케이스, 자석 약화, 힌지 불량, 센서 오염 → 닫힘 인식 못함

이건 아닌 것 같기도 하고... ㅜㅜ

 

 

해결 방법

진단 결과에 걸린 앱을 아예 끄고 맥북을 닫았다가 30초 후 다시 열어서

 

pmset -g log | tail -50 실행

 

아래 두 줄이 나와야 정상

Sleep initiated by lid closure

Wake reason: EC.LidOpen

 

힌지 쪽에 Hall 센서 문제면 센터 가야함.

 

여기까지가 ChatGPT 와의 대화

생각해보니까 내가 챗GPT 구독을 끊었다.

 

Gemini 2.5에게 질문해봄

 

맥북 M1의 pmset -g log 로그를 분석한 결과와 잠자기 모드 문제에 대한 설명입니다.


 

현재 잠자기 방지 상태 (2025년 6월 28일 오후 11시 11분 06초 기준)

 

로그 기록을 보면 현재 시스템이 잠자기 모드로 진입하지 못하게 하는 몇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 UserIsActive (사용자 활동 중):

    • pid 183(WindowServer): 키보드/트랙패드 입력으로 인한 사용자 활동이 감지되었습니다. 이는 사용자가 Mac을 사용하고 있을 때 정상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300초(5분) 후에 자동으로 해제됩니다.

    • pid 125(powerd): **"com.apple.powermanagement.lidopen"**이라고 명시된 것처럼 뚜껑이 열려있거나 열린 상태에서 활동이 감지되었음을 나타냅니다. 이 역시 사용 중일 때 자연스러운 현상이며, 291초 후에 자동으로 해제됩니다.

  • InternalPreventDisplaySleep (내부 디스플레이 잠자기 방지):

    • pid 125(powerd): **"com.apple.powermanagement.delayDisplayOff"**라는 이름으로 디스플레이가 꺼지는 것을 시스템이 지연시키고 있습니다. 디스플레이가 켜져 있으면 시스템이 유휴 상태로 잠자기 모드에 들어가지 않으므로, 이 또한 현재 사용 중임을 나타냅니다. 206초 후에 자동으로 해제됩니다.

  • PreventUserIdleSystemSleep (사용자 유휴 시스템 잠자기 방지):

    • pid 125(powerd): **"Powerd - Prevent sleep while display is on"**이라는 메시지는 디스플레이가 켜져 있는 동안에는 시스템이 사용자 유휴 상태로 잠들지 않도록 방지한다는 의미입니다.


 

최근 활동 및 관찰된 사항

 

  • 23:01:59: coreaudiod (PID 196)라는 오디오 관련 프로세스가 이전에 걸어두었던 여러 잠자기 방지(PreventUserIdleSystemSleep, PreventUserIdleDisplaySleep)를 해제했습니다. 이는 특정 오디오 활동이 끝나면서 잠자기를 방해하는 요소가 사라졌음을 의미합니다.

  • 23:03:42: powerd가 뚜껑 열림(lidopen)으로 인해 **"UserIsActive"**를 생성했습니다. 이 시점 전후로 사용자가 Mac을 사용하기 시작한 것으로 보입니다.

  • 23:07:50: Amphetamine (PID 75982) 앱이 "PreventUserIdleDisplaySleep"을 생성했습니다. Amphetamine은 Mac이 잠들지 않도록 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앱입니다.

  • 23:08:03: Amphetamine이 디스플레이 잠자기 방지를 해제했고, 동시에 powerd가 "InternalPreventDisplaySleep"을 켰습니다. 이는 Amphetamine이 짧게 디스플레이를 깨워두다가 역할을 시스템에 넘긴 것으로 보입니다.

  • 23:08:42: powerdlidopen으로 인한 "UserIsActive"를 타임아웃(해제)했습니다. 뚜껑 열림 이후 5분 동안 활동이 없었음을 의미합니다.

  • 23:09:12: Amphetamine이 시스템 잠자기 방지(PreventUserIdleSystemSleep)를 해제했으며, coreaudiod도 추가적인 잠자기 방지들을 해제했습니다.

  • 23:09:30 ~ 23:09:31: Amphetamine이 다시 짧게 디스플레이 잠자기 방지(PreventUserIdleDisplaySleep)를 생성했다가 해제했습니다.

  • 23:10:56: powerd가 새로운 뚜껑 열림(lidopen)으로 인한 "UserIsActive"를 다시 생성했습니다. 이는 최근에 사용자 상호작용(예: 뚜껑 열기 또는 입력 장치 사용)이 있었음을 나타냅니다.


 

맥북이 잠자기 모드로 진입하지 않는 이유

 

로그를 보면 Mac이 잠자기 모드로 진입하지 않는 것은 정상적인 사용자 활동특정 앱(Amphetamine)의 영향 때문으로 보입니다.

  1. 활성 사용자/뚜껑 열림: WindowServer (키보드/트랙패드)와 powerd (뚜껑 열림)의 UserIsActive 상태가 현재 Mac이 깨어있는 주된 이유입니다. 이 상태가 유지되는 한 (즉, 사용 중이거나 뚜껑이 열려있는 한) Mac은 유휴 잠자기에 들어가지 않습니다.

  2. "Powerd - Prevent sleep while display is on": 디스플레이가 켜져 있으면 시스템은 유휴 잠자기에 들어가지 않습니다.

  3. "com.apple.powermanagement.delayDisplayOff": 디스플레이가 꺼지는 것을 적극적으로 방지하고 있으며, 이는 시스템이 유휴 잠자기에 들어가지 않게 합니다.


 

잠자기 모드 문제 해결 방법

 

현재 로그 상으로는 시스템이 기대하는 대로 동작하고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그러나 Mac이 예상과 다르게 잠들지 않는다면 다음 사항들을 확인해 보세요:

  1. 활성 애플리케이션 확인:

    • Amphetamine 앱: 로그에 Amphetamine 앱이 여러 번 잠자기 방지(PreventUserIdleDisplaySleep, PreventUserIdleSystemSleep)를 생성하고 해제하는 기록이 있습니다. Mac이 잠들게 하려면 Amphetamine 앱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지 또는 잠자기 방지 기능이 꺼져 있는지 확인하세요. 이것이 로그에서 잠자기 방지의 가장 명확한 외부 요인입니다.

    • Core Audio (코어 오디오): coreaudiod 관련 로그는 오디오 프로세스가 활성화되어 있었음을 보여줍니다. 오디오/비디오 편집 소프트웨어, 음악 플레이어, 화상 회의 도구 등이 실행 중이면 잠자기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사용하지 않을 때는 해당 앱들을 종료하세요.

    • 기타 애플리케이션: 백그라운드 앱이나 열려 있는 웹 브라우저 탭(특히 미디어를 재생하는 탭)도 잠자기 방지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현재 실행 중인 앱들을 확인해 보세요.

  2. 에너지 절약 설정 검토 (시스템 설정 > 배터리):

    • "디스플레이 끄기 시간": 이 시간을 적절하게 설정했는지 확인하세요.

    • "가능한 경우 하드 디스크를 잠자기 상태로 전환": 이 옵션은 체크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 "디스플레이가 꺼져 있을 때 컴퓨터가 자동으로 잠자지 않도록 방지": 이 옵션이 체크되어 있으면 디스플레이가 꺼져도 Mac은 잠들지 않습니다. 잠자기 모드를 원한다면 이 옵션을 체크 해제하세요.

    • "네트워크 접근 시 깨우기": 보통 주요 원인은 아니지만, 과도한 네트워크 활동(예: 대용량 다운로드, 지속적인 동기화)이 잠자기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 전원 어댑터 vs. 배터리: 전원 어댑터 연결 시와 배터리 사용 시 설정이 다를 수 있으니 모두 확인해 보세요.

  3. 주변 기기 확인:

    • 외부 USB 장치: 결함이 있거나 계속해서 활동하는 USB 장치(예: 외장 하드 드라이브가 계속 돌아가는 경우, 마우스가 지속적으로 신호를 보내는 경우)는 잠자기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불필요한 주변 기기를 분리하여 테스트해 보세요.

    • 블루투스 장치: 블루투스 마우스나 키보드 같은 활성 블루투스 장치도 때로는 Mac을 깨어있게 할 수 있습니다.

  4. Mac 재시동: 간단한 재시동으로 일시적인 소프트웨어 문제가 해결되어 잠자기가 정상화될 수 있습니다.

  5. 지속적인 잠자기 방지 요소 식별:

    • 만약 여전히 문제가 발생한다면, 터미널에서 pmset -g assertions 명령어를 실행하여 현재 모든 활성 잠자기 방지 요소를 실시간으로 확인해 보세요.

    • 이 명령어를 통해 얻은 프로세스 ID (PID)를 사용하여 ps aux | grep PID (PID 대신 실제 숫자를 입력) 명령어로 해당 프로세스가 어떤 앱인지 식별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현재 로그는 사용 중인 Mac의 정상적인 동작을 보여주며, Amphetamine 앱이 잠자기 방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Mac이 예상대로 잠들지 않는다면, 먼저 Amphetamine 앱의 설정을 확인하고, 다른 실행 중인 앱들과 에너지 절약/배터리 설정을 검토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Amphetamine 이라는 앱 문제인가.. 켜지도 않았는데 백그라운드에서 돌고있었나? 확실히 끄고 다시 해보자

화면닫으면 잠자기 모드에 들어가게 설정되어있는데도 감지된다니 프로세스를 완전히 꺼버리자.

 

Amphetamine 완전히 끈 뒤

분석 및 다음 단계

 

Amphetamine 앱을 종료한 것은 아주 잘하셨습니다! 이제 더 이상 Amphetamine이 직접적으로 잠자기를 방해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Mac이 잠들지 않는다면, 현재 로그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은 "UserIsActive" 어설션"Powerd - Prevent sleep while display is on" 어설션입니다.

  1. 사용자 활동 감지: UserIsActive 어설션은 사용자가 키보드/트랙패드를 사용하거나 뚜껑이 열려있어서 시스템이 '사용 중'이라고 판단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 어설션들은 사용자의 마지막 활동으로부터 일정 시간(기본 5분)이 지나면 자동으로 해제됩니다.

  2. 디스플레이 켜짐으로 인한 시스템 잠자기 방지: Powerd - Prevent sleep while display is on은 디스플레이가 켜져 있는 한 시스템이 잠들지 않는다는 기본적인 macOS의 동작 방식입니다.

Mac이 잠자기 모드로 진입하게 하려면:

  • Mac 사용을 멈추고 기다리기: 키보드, 마우스, 트랙패드 등 모든 입력을 중단하고 Mac이 일정 시간 (일반적으로 5분) 동안 유휴 상태를 유지하도록 두세요. UserIsActive 어설션이 타임아웃되면 Mac은 잠자기 준비를 시작할 것입니다.

  • 디스플레이 끄기: 디스플레이가 꺼지면 Powerd - Prevent sleep while display is on 어설션도 더 이상 유효하지 않게 되어 시스템이 잠들 수 있습니다.

  • 뚜껑 닫기: 노트북의 뚜껑을 닫으면 디스플레이가 꺼지고 시스템이 잠자기 모드에 진입합니다 (외부 모니터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만약 사용자 활동이 완전히 중단된 후에도 Mac이 잠들지 않는다면, 다른 백그라운드 프로세스가 잠자기를 방해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때는 pmset -g assertions 명령어를 다시 실행하여 사용자 활동이 없는 상태에서의 어설션 목록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역시 결론은 디스플레이

트랙패드는 맥북 화면을 덮고 5분지나면 꺼진다고하니 역시 디스플레이가 켜진 것으로 인식된다는거.. 센서 문제인가보다... 라고 생각했는데

 

마음에 급해서 디스플레이는 뚜껑 덮고 몇분 지나야 완전히 해제된다는 것을 깜빡했다.

 

5분정도 덮고 다시 로그 분석

 

확인했습니다. 2025년 6월 28일 오후 11시 31분 57초 현재 pmset -g assertions 로그를 분석해 보니, 맥북이 잠자기 모드에 진입하지 못하는 새로운 이유가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맥북 잠자기 방지 상태

 

현재 맥북이 잠들지 못하게 하는 주요 요인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UserIsActive (사용자 활동 중):

    • pid 183(WindowServer): 키보드나 트랙패드 같은 입력 장치에서 사용자 활동이 감지되었습니다. 이는 사용자가 Mac을 사용 중이거나 최근에 사용했음을 의미하며, 이 활동이 멈춘 후 300초(5분)가 지나면 자동으로 해제됩니다.

    • pid 125(powerd): "com.apple.powermanagement.lidopen"이라고 명시된 것처럼, 맥북의 뚜껑이 열려있거나 열린 상태에서 활동이 감지되었습니다. 이 어설션도 292초 후에 자동으로 해제됩니다.

  • PreventUserIdleSystemSleep (사용자 유휴 시스템 잠자기 방지):

    • pid 125(powerd): **"Powerd - Prevent sleep while display is on"**은 디스플레이가 켜져 있는 동안 시스템이 유휴 상태로 잠들지 않도록 방지한다는 macOS의 기본 동작을 나타냅니다.

    • pid 77223(backupd-helper): **"Mutexed Backup Block"**이라는 어설션이 새로 나타났습니다. backupd-helperTime Machine 백업 프로세스와 관련된 서비스입니다. 이 어설션은 현재 Time Machine이 백업 작업을 수행하고 있거나 백업을 위한 준비 중이어서 시스템이 잠들지 못하게 막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분석 및 권장 사항

 

이전 로그에서는 Amphetamine 앱과 사용자 활동이 주요 원인이었으나, 이제는 Time Machine 백업(backupd-helper)이 새로운 잠자기 방지 요인으로 추가되었습니다.

맥북이 잠자기 모드로 진입하게 하려면 다음을 고려해주세요:

  1. Time Machine 백업 완료 대기: 현재 가장 직접적인 잠자기 방지 요인은 backupd-helper입니다. Time Machine 백업이 완전히 완료될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백업이 진행 중일 때는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잠자기를 막는 것이 정상적인 동작입니다.

  2. 사용 중단 후 기다리기: Time Machine 백업이 완료된 후에도 맥북이 잠들지 않는다면, 키보드, 트랙패드, 마우스 등 어떤 입력도 하지 않고 최소 5분 이상 맥북을 유휴 상태로 두세요. UserIsActive 어설션이 자동으로 해제되어야 합니다.

  3. 뚜껑 닫기: 맥북의 뚜껑을 닫으면 디스플레이가 꺼지고, 일반적으로 외부 모니터가 연결되어 있지 않다면 잠자기 모드로 진입합니다. (단, 백업이 진행 중일 때는 뚜껑을 닫아도 백업이 완료될 때까지 잠들지 않을 수 있습니다.)

  4. 수동으로 잠자기 모드 진입: Apple 메뉴 () > 잠자기를 클릭하여 수동으로 잠자기 모드로 전환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백업이 활성 상태라면 이 방법도 효과가 없을 수 있습니다.

핵심은 backupd-helper (Time Machine)가 완료되는 것입니다. 백업이 끝나면 이 어설션은 사라지고, 이후 사용자 활동이 없으면 Mac은 잠자기 모드로 전환될 것입니다.

Time Machine 백업이 예상보다 오래 걸리거나 멈춘 것 같다고 느껴지신다면, Time Machine 설정을 확인하거나 백업을 수동으로 중지한 후 다시 시도해 볼 수도 있습니다.

백업이 완료되었는데도 여전히 잠자기 문제가 발생한다면, 다시 pmset -g assertions 명령어를 실행하여 현재 어떤 어설션이 남아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환장하네.. 그냥 쓸란다.. 아까 엣지 브라우저에서 동영상 돌아가는 탭을 끄고나니 괜찮은 것 같기도하다..

 

 

한번 더 트라이

타임머신 백업 설정되어있던 것을 아예 삭제해버렸다.

 

  • 23:40:40: "Display is turned off" 알림이 나타났고, powerd가 "Powerd - Prevent sleep while display is on" 어설션을 해제했습니다. 이 시점에서 맥북은 잠자기 모드로 진입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 23:42:24: WindowServerpowerd가 다시 UserIsActive 어설션을 생성했습니다. "Display is turned on" 알림도 다시 나타났습니다. 이는 사용자가 이 시점에서 다시 맥북을 깨웠거나 사용하기 시작했음을 의미합니다.

 

마지막은 내가 뚜껑을 열어서 그런거같음

 

현재 로그는 맥북이 23시 40분 40초경에 사용자 활동이 없어지면서 디스플레이가 꺼지고, 그에 따라 시스템 잠자기 방지 어설션도 해제되어 정상적으로 잠자기 모드로 진입했음을 강하게 시사합니다.

 

라고 나오는 것을 보니 이제 안심해도 될 것 같아서 그만...

덕후 덕후
12 Lv. 14034/15210P

♥기록덕후♥
경험을 기록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신고공유스크랩

댓글 0

댓글 쓰기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