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팁 자동차 Auto Hold(오토홀드) 버튼 기능 설명

26089 0 0
자동차 Auto Hold(오토홀드) 버튼 뭐예요?
이것도 몰라? 라고 생각하실수도 있지만, 의외로 자동차 세부적인 기능에 대해 관심이 없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차를 처음 구매한 사람이나 오래된 차를 타다가 최근 새차로 바꾸신분들도 모를 수 있습니다.
저는 싼타페TM을 타고 있는데 오토홀드 기능은 아래 이미지에 나온 버튼을 누르면 켤수있습니다.
"아.. 물티슈로 한번 닦고 찍을걸 -_-;"
자동차 기어 아래에 버튼이 있는데, 브레이크를 한번 꾹 밟으면 계속 밟고있지 않아도 자동차를 정지 상태로 잡아주게 하는 기능 입니다. 브레이크에서 발을 떼면 서서히 움직이는 크리핑 현상이 없이 그 자리에 딱 멈춰있습니다.
- 오토 홀드 버튼을 누르면 계기판에 기능이 활성화 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브레이크를 한번 밟아주면 자동차는 정지 상태로 멈춰있습니다. 계속 밟고 있지 않아도 됩니다.
- 출발할때는 악셀을 살짝 밟아주면 자동으로 Auto Hold 상태가 풀리고 출발하게 됩니다.
- 몇몇 택시 운전기사님들이나 운전 오래하신 분들 중에 멈출때마다 습관적으로 D에서 P로 해놓고 있다가, 다시 D로 바꿔서 바로 출발하는게 미션에 그리 좋지 않다고 하는 말도 있는데, 그게 사실이라면 오토홀드가 더 낫겠네요.
제차의 경우에는 계기판 오른쪽 상단에 AUTO HOLD라고 뜹니다.
오토홀드 별로일때
- 정체구간에서는 무조건 오토홀드를 끕니다.
- 시내 정체는 켜놓으면 오히려 운전하기 불편합니다.
- 고속도로 정체는 차라리 크루즈 기능 켜놓고 앞차 간격 가장 짧게 인식하게 해놓는게 더 편합니다.
- 그냥 취향에 따라 호불호가 갈리는 기능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