팁/정보 DNS란? 내 DNS 확인과 우회 IP로 변경하는 방법

0 0
DNS란?
DNS는 인터넷의 전화번호부와 같습니다.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 사람들은 쉽게 기억할 수 있는 도메인 이름(예: example.com)을 사용하지만, 이는 사람을 위한 방식일 뿐 실제 컴퓨터는 숫자로 된 IP 주소(예: 192.1.2.3)를 사용하여 통신합니다.
DNS(Domain Name System)는 이러한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해 주는 서비스입니다.
예를 들어, 누군가 문자로 된 인터넷 주소를 입력하면, DNS는 이 도메인 이름을 해당 IP 주소로 변환하여 사용자가 올바른 서버에 접속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이 과정은 매우 빠르게 이루어져, 사용자는 IP 주소를 직접 입력할 필요 없이 쉽게 웹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간단히 말해, DNS는 스마트폰에서 사람 이름을 누르면 전화번호로 연결해주는 것과 같습니다.
내 DNS 확인하는 방법
- 윈도우
- [윈도우키] + [R] 눌러서 CMD 입력 후 ipconfig /all 입력하시면 확인 가능하고
- 파워쉘에서 Get-DnsClientServerAddress 입력하셔도 됩니다.
- MacOS
- 터미널열어서 scutil --dns 입력 후 resolver #1 아래에 나오는 nameserver 항목이 현재 사용 중인 DNS 서버 주소
- 설정 - 네트워크 - 네트워크 어댑터 - 고급 버튼 - DNS 탭 들어가서 확인 가능
- Linux : 우분투 기준 예전에는 nslookup server로 확인했던 것 같아요.
한국 통신사별 DNS는 아래와 같습니다. 바꾸지 않았으면 보통 아래의 주소 입니다.
- KT : 168.126.63.1 / 168.126.63.2
- SK 브로드밴드 : 210.220.163.82 / 219.250.36.130
- LG U+ : 164.124.101.2 / 203.248.252.2
DNS 바꾸는 방법과 이유 장단점
- 통신사 DNS : 가장 속도 빠르고, 사용하는데 별 탈이 없기 때문에 굳이 DNS 변경을 할 이유는 없습니다.
- 타사 DNS : 전에는 막힌 사이트 접속을 위해 우회용으로 바꾸기도 했는데 잘 안되는 경우도 많고 일반 사이트에서도 가끔 오류가 있기도 합니다.
DNS는 클라우드플레어의 1.1.1.1 혹은 구글의 8.8.8.8을 많이 사용합니다. 국내 DNS를 사용했을때 내 인터넷 이력이 조금이라도 덜 남는 장점이 있고, 막힌 사이트가 우회 접속 되는 경우가 있긴 합니다.
이 글을 찾아보셨다면 수동으로 DNS 바꾸는 것은 어려우실 수 있으니 앱을 사용하시는게 좋습니다.
간단하게 유니콘 https 쓰시면 됩니다.